행동빈도 연구의 3요소를 정리해 보면 행동지명, 전형성 판단, 행동 기록(보고)가 있다.
행동지명은 ‘~은 어떤 행동을 하는가?’를 설명하고 전형성 판단은 ‘~의 전형적인 행동은 무엇인가?’이며 행동 기록(보고)은(보고)는 ‘~행동에 대한 자기 또는 관찰자의 보고(기록)’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강박적인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는가?’라는 주제가 주어졌을 때 먼저 행동지명에 대해서는 ‘예민함, 계획적임, 집착함, 꼼꼼함’ 등 정도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두 번째로 전형성 판단에 대해서는 ‘청결이나 위생에 대한 집착도가 심하다, 물건의 대칭에 대해 정확하게 하려고 한다, 세운 계획이 하나만 틀어져도 엄청 예민해지고 충동적으로 행동한다.’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동 기록(보고)에서는 ‘머리카락 한 올도 바닥에 떨어져 있으면 안 된다는 생각에 청소기를 하루에도 5번 이상 돌린다, 계획했던 일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자 예민해지고 짜증을 내고 충동적으로 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기록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평소에 강박이 있는 편이라 나를 생각하면서 작성해 봤는데 이렇게 보니 강박이 참 나를 많이 해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성격심리학을 공부하면서 나에 대하여 참 많이도 돌아보고 또 개선해야 할 점들을 발견하는 통찰의 시간을 꾸준히 가지게 되어 나로서 참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특성에 대한 접근은 3가지로 어휘적 접근, 통계적 접근, 이론적 접근이 있다.
먼저 어휘는 대상이 되는 한 사람이 사용하는 어휘를 말하며 이는 그 사람의 성격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어휘에 대한 가설은 ‘모든 중요한 개인차는 자연 언어 내에 부호화되어 있으며 의사소통에 유용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기준으로는 동의어 빈도, 범문화적 보편성이 있다. 예를 들어 ‘go by, stop by, stop in, come by, drop by, drop in’ 이 영단어들은 모두 ‘잠깐 들리다.’는 뜻을 가진 동의어이다.
다음으로 통계적 접근은 ‘요인분석, 요인부하’로 설명이 된다. 요인분석을 사전에 검색했더니 ‘알지 못하는 특성을 규명하는 데 문항이나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이나 변인을 모아 요인으로 규명하고 그 요인의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적 방법’이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의미 그대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특성 요인에 대한 자기평정을 이용하여 기본 범주(카테고리)를 추출하는 것이 통계적 접근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접근은 어떤 자료를 통하여 이론을 추출해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변수가 중요한지 정의하는 이론에서 시작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흔히 우리가 공부를 하면서 보는 문장 중에 ‘~이론에 따르면,~’이 있는데 이 역시 같은 맥락으로 설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발달의 이론적 접근에서는 청소년들이 왜 어떠한 행동이나 심리적 특성을 갖는지에 대하여 이유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청소년의 행동이나 심리적 특성을 예측하는 것에 있어 이론적 접근이 유용하게 작용된다고 말한다.
'심리학 > 심리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심리학 - 행동유전학의 목표와 유전이 성격에 미치는 영향 (0) | 2023.02.21 |
---|---|
DSM-5 (0) | 2023.02.14 |
성격심리학 - HEXACO (H팩터) (0) | 2023.02.06 |
성격심리학 - 아이젠크의 성격위계모형(BIG 5) (0) | 2023.02.06 |
성격심리학 입문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