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능이론 3

지능과 심리학 - 지능검사(1)

지능검사의 실시 언제 - 개인의 지능수준을 알고 싶을 때 준비사항 - 수검자가 검사자의 지시를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검사 도구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함, 적절한 조명, 쾌적한 환경, 편안한 책상과 의자, 검사 전 뇌 손상, 정신 증상 등의 병력을 검사자에게 알려야 함. 주의사항 - 검사자와 수검자 간의 신뢰롭고 편안한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검사자는 수검자가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Galton의 지능검사 - 최초로 지능 측정을 시도 -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감각이 매우 예민하다는 것이 특징 - 선천적인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색깔 지각, 청각, 반응속도와 같은 감각능력을 측정하고자 함 - 현재 지능검사는 프랑스의 Binet가 제작한 지능검사에 의해 토대가 마련됨 Binet의 지능검사 ..

지능과 심리학2 - 지능이론

Spearman의 g요인 이론 - 지능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연구 - 요인분석을 통해 여러 심리검사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함. - 일반지능요인: 모든 지능검사가 공유하는 핵심 요인 - 특수요인: 각각의 지능검사만이 공유하는 특수한 요인 *요인분석: 여러 변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관련 변인군을 찾아내는 통계적 분석 방법이다. 즉, 인반지능요인이론 = g요인 이론 = 2요인 이론 g요인 - 경험으로부터 정보를 습득하고 유지하는 능력으로 둘 간의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이며 새로운 주제의 원리를 추론하는 능력이다. - 'g요인이 높으면 전반적으로 다 잘할 것' 즉, 언어능력이 높으면 수리능력도 높고 추리능력도 높고 공간지각능력도 높을 것이라고 봄 하지만, 지능의 복잡성을 지나치게 단순화 시킨다는 ..

지능과 심리학1 - 지능이란?

지능이란? - 어떤 목적을 향하여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총체적이고 전체적인 능력이다. (Wechsler, 1958) - 지능이란, 이해력, 창조력, 비판력, 행동의 방향 설정 능력이 포함된 인식능력이다. (Binet, 1905) 이 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있다. 즉, 지능이란! 새로운 삶의 환경에서 자신을 적응시키는 능력으로 지능은 학습능력에 해당한다. 지능은 심리학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학자들 간에 합의된 정의가 없다. 지능을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인간 행동에서 지능의 작용을 분리하기 어려움 - 지능은 다양한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음. 지능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없으나 지능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은 많이 있어서 그 이론들에 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