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학이론

불안장애

gy_mi___ 2023. 3. 15. 16:36
728x90
728x90

불안과 공포

- 불안(anxiety):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염려, 미래의 위협에 대한 것

- 두려움(fear): 즉각적인 위험에 대한 반응, 지금 이 순간 일어나고 있는 위협에 대한 것

  • 불안과 공포는 모두 적응을 위한 반응
  • 두려움은 교감신경계를 자극, '도피 또는 싸움' 반응을 유발함
  •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준비성을 높여줌
  • 불안은 위험 가능성이 있는 상황 회피,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대비책 강구

불안과 수행의 역 U자형 관계

  • Yerkes & Dodson 실험실 연구 결과: 불안수준이 너무 낮아도, 높아도 문제이며 적정 수준을 유지한다면 오히려 수행이나 적응에 도움이 된다.

불안장애

1. 일반화된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또는 범불안장애)

  • 핵심 특징은 '걱정'이 보통 사람들보다 더 많다는 것
  • 걱정이란 어떤 문제에 대해 되씹고 있기 때문에 그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지적 경향성이다.
  • 어떤 구체적인 위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6개월 이상 걱정과 근심이 지속됨
  • 근육긴장, 피로, 안절부절, 집중력 저하, 짜증, 수면문제 등의 증상이 적어도 3가지 이상 나타나야 함
  • 대인관계, 건강, 돈, 일상생활의 짜증거리 등에 대한 걱정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것
  • 다른 장애로 인한 유발된 근심을 걱정한다면 GAD로 진단되지 않음

2. 공황장애(panic disorder)

  • 갑자기 극심한 공포 발작(panoc attack)을 단 몇 분간 경험하는 것
  • 강렬한 두려움, 공포, 무서움, 당장이라도 엄청난 일이 일어날 것만 같은 절박한 느낌을 동반함
  • 심장박동의 증가, 현기증, 기절, 메스꺼움, 가슴 통증, 땀, 오한, 떨림, 목이 죄이거나 숨이 막히는 것 같은 느낌 등 신체적인 증상을 동반함
  •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작스럽게 발작이 나타나고 이러한 갑작스러운 발작 가능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걱정을 한다면 공황장애로 진단됨

* 공황장애 자가진단

가슴이 떨리거나 심장박동수가 증가한다 4가지 이상의 증상이 갑자기 시작되어
10분 이내로 최고조에 달한다면
공황장애로 의심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수 분 이내로
갑작스럽게 괜찮아지는 특징이 있음.
땀이 많이 난다.
손, 발 혹은 몸이 떨리거나 흔들린다.
숨이 가쁘고, 숨을 쉬기가 힘들다.
가끔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통증이 느껴진다.
메슥거리고 속이 불편할 때가 있다.
어지럽고 휘청거리거나 실신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세상이 달라진 것 같은 이상한 느낌, 혹은 자신이 달라진 듯한 느낌을 받는다.
자제력을 잃거나 공포스러움을 느낀다.
죽음에 대한 공포가 있다.
손발이 저릿하거나 마비되는 느낌을 느낀다.
오한이나 몸이 화끈거리는 느낌을 받는다.


3. 공포증(phobia)

- 구체적 대상, 활동 또는 상황에 대해 지속적이고 비합리적인 두려움을 느낌

- 극단적, 비이성적

 

① 광장 공포증(agora phobia)

- 도피하기 힘들거나 당혹스러운 공공장소나 개방된 곳에서 경험하는 극단적인 공포감

-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힘들까봐 불안감을 느끼는 것

- 공황장애와 공존하는 경우가 많음

- 갑자기 공황발작이 나타나거나 발작이 나타났을 때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될까봐 불안해 함

 

② 특정 공포증(specific phobia)

-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반응

- 한 가지 유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유형의 특정 공포증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음

 

③ 사회 공포증(social phbia)

- 타인에 의해 관찰이 가능한 공공상황을 예상함으로써 야기되는 끊임없고 비이성적인 두려움

- 자기충족적 예언

-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도 불안을 야기함

 

4.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강박사고(obsessions)

- 억누르려고 애써도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각, 상상, 충동

- 강박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강박사고가 비이성적이고 지나치다는 것을 스스로도 알지만, 불안과 긴장이 올라오면 어쩔 수 없이 강박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에 좌절을 느낌

 

강박행동(compulsions)

- 강박적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복적인 행동

- 예) 손 씻기, 샤워, 물건 줄 맞춰 정리하기

 

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s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 고통스러운 기억, 꿈, 환각, 회상을 통해 충격적인 사건을 지속적으로 재경험 하는 불안장애

- 직접 경험 뿐만 아니라 간접 경험으로도 PTSD를 앓을 수 있음

- 주요 우울증, 물질남용 문제, 자살시도 같은 다른 정신병리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음

- 예) 911 테러 사건 이후 세계무역센터에서 대피했던 사람들 중 약 15%가 2~3년 후 PTSD 진단을 받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