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학이론

기분장애 (우울장애, 양극성 장애, 우울증, 자살)

gy_mi___ 2023. 3. 16. 10:42
728x90
728x90

1.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 주요우울장애의 특징

특징
우울한 기분 슬프고, 공허하고, 절망적이고, 거의 모든 일상적 활동에 관심과 기쁨이 없음
식욕 체중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수면 불면이나 과다수면
활동 눈에 띄게 느려지거나 안절부절 못함
죄책감 무가치감, 자기비난
집중력 사고력, 집중력,기억력 감퇴
자살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생각 또는 시도

2.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 심각한 우울증과 조증 일화가 교차되어 나타남

- 개인마다 다른 양상을 보임

- 조증일화(manic episode)

  • 기분이 고양되고 팽창되는 느낌, 지나치게 활동적임
  • 자기 존중감 확장, 자신이 특별한 능력이나 힘을 가졌다는 비현실적 신념
  • 수면이 극적으로 줄어듦, 일이나 사교적 또는 즐거움을 주는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함
  • 조증이 사라지면 조증 시기에 저지른 근거 없는 낙관, 불필요한 위험부담, 쉬운 약속 등으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므로 심한 우울로 이어짐

기분장애의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증가는 조증과 관련)
  • 우울증과 조증에 반응하는 약물이 다름

2. 정신역동적 관점

  • 초기 아동기에서 온 무의식적 갈등과 적개심이 우울증을 발달시킴
  • 우울한 사람들의 자기비난과 죄책감은 원래 타인을 향해야 할 분노가 자신의 내면으로 향한 것임

3. 행동주의적 관점

  • 정적강화보다는 처벌 받은 경험이 많으면 우울을 경험함
  • 우울을 경험하면 스트레스 상황을 회피하게 되고 이런 회피전략이 정적강화를 얻을 기회를 더욱 감소시킴
  • 긍정적 피드백은 과소평가, 부정적 피드백은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남

4. 인지적 관점

  • 초기 아동기에서 온 무의식적 갈등과 적개심이 우울증을 발달시킴
  • 우울한 사람들의 자기비난과 죄책감은 원래 타인을 향해야 할 분노가 자신의 내면으로  향한 것임

Aaron Beck의 인지틀 이론: 우울한 사람이 갖는 부정적 인지 특징 = 자신, 진행 중인 경험(현재), 미래에 대한 부정적 관점

Seligman & Maier: 학습된 무기력

1단계

- A집단: 코로 버튼을 누르면 전기충격을 멈출 수 있음(환경 통제 가능 조건)

- B집단: 전기충격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이 없음(환경 통제 불가능 조건)

→ 두 집단에 동일한 횟수의 전기충격을 가함

2단계: 칸막이가 있는 상자에 개를 넣고 중앙의 조명 밝기가 낮아지면 전기충격이 가해진다는 것을 학습하게 함

- A집단: 조명의 밝기가 낮아지면 전기충격이 가해지기 전에 칸막이를 넘어가서 전기충격을 피함

- B집단: 칸막이를 넘어가지 않고 그대로 전기충격을 견딤

 

  • 주요우울장애의 주의편향
  • 우울증은 사람들이 세상에 대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그래서 우울증을 겪지 않은 사람들보다 부정적 정보에 더욱 끌리게 됨.

우울증의 성차

Q. 왜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더 많이 걸릴까?

A. 부정적 사건을 경험했을 때, 남성은 다른 일에 집중하거나 신체적 활동을 하는 등 우울한 감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으로 시도하는 반면, 여성을 감정의 이유와 의미에 대해 생가하고 더 많이 반추하는 경향이 있음.

*반추는 우울의 위험 요소가 된다.

- 부정적 감정에 관심을 두면 부정적 사건을 더 생각하게 되고 부정적 감정에 더 많이, 더 강렬하게 빠져들 수 있음

 

자살

- 대부분의 자살은 우울증에 시달리던 사람들에 의해 발생함

- 여성의 자살시도는 남성보다 약 3배 높음

- 자살의 성공률은 남성이 더 높음 그 이유는 남성은 치면적인 방법을 사용하지만 여성을 덜 치명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대한민국의 자살

-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높은 나라에 속함

- 청소년 자살률도 높은 편에 속함

- 충동적인 행동이 아닌 오랫동안  내적 갈등과 고통으로 인해 고민하다가 마지막 단꼐에 일어남

- 누군가 자살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면, 심각하게 받아드리고, 자살의도의 단서에 대해 민감해져야 함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