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학이론

성격심리학 -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성격심리학

gy_mi___ 2023. 2. 21. 14:02
728x90
728x90

진화론에서는 살아 있는 모든 인간은 성공한 사람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진화에서는 사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Charles Darwin의 진화론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기체의 구조는 변화되며 환경에 적응한다고 했고 진화론에서는 인간 본성과 성격은 진화 과정의 산물이라고 보았다.

 

Natural selection은 자연스러운 선택을 의미한다. 이것은 유기체가 특정 상황에 적응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변화 또는 변이(돌연변이)가 생긴다고 했다. 이때 성공적으로 적응한 변이는 선택되어 종의 전체 특성이 되고 실패한 변이는 제거된다. 실패한 변이들은 흔히 우리가 살아가면서 반짝 하고 사라지는 것들이 포함 된다. 적응은 자연의 적대적 속성으로 인한 생존과 번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길고 반복적인 자연스러운 선택 과정이다.

 

다윈의 성 선택 이론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동성의 개체들이 이성에게 성적으로 어필하는 것을 두고 경쟁을 버리는 것이고, 또 다른 유형은 성간 경쟁이 있다. 이것은 개체들이 일정한 특질을 지닌 이성을 다른 잠재적 배우자 대비 선호하는 것을 뜻한다. 공작 수컷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깃털을 지닌 이우는 암컷이 이러한 특질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윈의 성 선택 이론은 짝짓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했다. 쉽게 설명하자면 내 유전자를 대대손손으로 퍼트리기 위해서 짝짓기를 한다는 것이다.

 

진화과정의 산물에는 적응, 적응의 부산물, 잡음(기능에 상관없는 것) 혹은 무작위 변이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어쩌면 문명화가 시작된 이후로 가장 집중하는 것이 이 잡음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가장 집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외모에 대해서 코가 낮다, 눈이 작다, 눈동자 색깔이 파랗다, 볼에 주근깨가 있다. 등 사람이 살아가는 데 전혀 관계없는 것들을 트집 잡는 것이 해당된다. 모든 적응은 그들이 진화하는 동안 개체의 생존과 번식을 돕거나 유전적 친척의 성공을 도와줌으로써 적합도를 높여야 한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진화론에서는 또 두려움과 공포는 적응의 메커니즘이라고 말한다. 현대 인간의 환경은 원시인간 시절과는 상반된다. 그러나 욕구, 두려움의 메커니즘은 수백만년전 원시본능에 따라서 좌우된다는 것이다. 만약 지금 내가 원시인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두운 밤에 어떤 소리를 들었을 때 나는 두려움에 벌벌 떨며 아무것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만약 짐승이었다면 나는 죽거나 다쳤을 확률이 높다. 이처럼 사람은 불확실하거나 안 좋은 소식을 접하게 되면 일단 두려워진다. 현대인의 예로는 주가 변동이나 금리, 부동산 등의 소식도 물론 포함이 된다.

 

아들러는 인간 본성은 진화과정의 주요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 인간은 열등한 상태에서 아주 우월한 상태로 가기 위해 생존과 번식을 성공적으로 돕는 심리적 기제를 더 많이 복제한다는 것이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