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심리치료는
- 정신장애로 진단받지 않더라도 생활 속의 다양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해결하고자 전문가를 찾음
- 과거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심리치료에 대해 알고 있고 심리치료 이용률도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심리적 문제가 심각해지거나 오랫동안 지속될 때에만 전문가를 찾음. 이것은 개인의 의지나 성격 문제가 아니며 적절한 도움을 받았을 때 더욱 건강한 심리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심리적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기존의 치료법이 개선되고 있다.
심리치료 전문가에는
임상심리전문가 | 대학원 심리가과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고(석사 이상), 병원 정신건강의학과나 상담센터 등에서 3년 이상 지도감독을 받으면서 수련을 거친 뒤 필기 및 구술시험을 거쳐서 전문가가 된다. |
관련 자격증: 정신보건임상심리사(보건복지부), 임상심리사(산업인력공단), 임상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 |
상담심리전문가 | 대학원에서 심리학 및 심리학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상담센터 등에서 3년 이상 지도감독을 받으면서 수련을 거친 뒤 필기 및 구술시험을 거쳐서 전문가가 된다. |
관련자격증: 상담심리사(한국심리학회), 심리상담사(한국심리상담협회), 청소년상담사(산업인력공단), 직업상담사(산업인력공단) |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 정신건강의학과를 전공한 의사로서, 심리전문가들과 달리 약물 처방권 등을 가지고 있다. |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학을 전공한다. |
그 외 | 간호사, 목회상담가 등 다양한 인력이 이상행동의 치료활동에 관여하고 있다. |
치료과정의 주요 과업
- 진단
-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 환자 또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에 대한 적절한 정신과적 진단명 결정(DSM-5에 기반)
- 병인 제시
- 무엇이 원인인가?
- 장애의 원인과 증상으로 인한 기능 확인
- 예후 내리기
- 치료를 받을 때와 받지 않을 때 문제가 진행되는 과정 예측
- 어떤 치료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
- 치료
- 문제의 증상이나 근원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는 것
치료 유형
- 생물의학적 치료
- 의사와 정신과 의사들이 주로 행하는 치료방법
- 수술, 전기충격, 약물 같은 화학적이거나 물리적 개입으로 뇌의 기능을 변화시킴
- 심리치료
- 정신역동적 접근
- 행동치료
- 인지치료
- 인본주의적 접근
- 실제 임상 장면에서는 특정 하나의 치료법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치료법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통합적 접근'을 사용함
- 인지치료 + 행동치료는 가장 뛰어난 통합적 접근법으로 꼽히고 있음
= 인지행동치료(CBT)
환자와 내담자의 차이
- 환자(patient)
- 심리적 문제를 생물의학적 관점에서 보는 전문가들이 사용, 주로 의사들이 선호함
- 내담자(client)
- 심리적 문제를 생활 속의 문제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사용, 상담가와 같은 비의사 집단이 선호함.
728x90
728x90
'심리학 > 심리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치료 - 행동치료 (0) | 2023.03.10 |
---|---|
심리치료 - 정신역동적 치료 (0) | 2023.03.10 |
지능과 심리학 - 지능검사(2) (2) | 2023.03.08 |
지능과 심리학 - 지능검사(1) (0) | 2023.03.08 |
지능과 심리학2 - 지능이론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