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장애 - 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우리 아이는 괜찮을까요?
아동기장애(신경발달장애)
- 발달기에 시작되는 장애들의 집합
- 초기 발달 단계인 학령전기(3세~6세)에 발현되어 개인적,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야기하는 발달적 결함이 특징
- 신경발달장애는 동반질환이 흔함 예) 자폐스펙트럼장애 + 지적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 2개의 증상군으로 구분됨
① 부주의
② 과잉행동-충동성
- 복합형(부주의 과잉행동-충동성)
▷ 주의력결핍 우세형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 대다수의 ADHD아동이 복합형에 속함
▶ 과잉행동 - 끊임없이 움직임 -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두드림 - 다리를 흔들거림 - 이유 없이 다른 사람을 툭툭 건드림 - 수다스럽게 말을 많이 함 - 안전부절 못함 |
![]() |
특정 발달 기간에 극도로 강하게 나타남 다양한 여러 상황에 걸쳐 지속적임 기능상으로 의미 있는 손상과 관련됨 - 아동의 정상적인 무질서를 이상행동으로 진단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파악할 필요가 있음 - ADHD 진단은 정말 극심하고 만연되어 있는 사례에 대해서만 적용되어야 함 |
▶주의력 결핍 - 과제가 주어졌을 때 주의를 집중하지 못함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성인ADHD
- ADHD 아동은 또래 관계가 원활하지 못함
- 공격적이거나 남을 성가시게 하는 행동
- 미세한 사회적 단서 인식 문제
- 친구들의 의도를 잘못 해석하여 부주의한 실수를 함(잘못된 귀인)
- 사회적으로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 알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함
- ADHD 아동 중 15~30% 학습부진을 보임
- 통상적인 교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수 교육을 받기도 함
-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음. 그 이유는 65~80%가 사춘기에 이르면 증상이 다소 완화되기는 하지만 성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ADHD의 진단기준을 충족하기 때문
- ADHD가 있는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경제적 지위는 평균보다 낮으며 보통 사람들보다 더 자주 직장을 옮겨다님
- 치료에 대하여
- 조기 진단으로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함
- ADHD는 주의/집중 능력을 조절하는 전두엽의 발달이 지연될 경우 나타남
- 약물치료를 통해 전두엽의 발달을 정상 수준으로 높일 수 있음
자폐 스펙트럼 장애
- DSM-Ⅳ에서 자폐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기 붕괴성 장애, 달리 명시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를 DSM-5에서는 서로 다른 장애로 구분하지 않고 개인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로 진단함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증상은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부재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이나 활동 등이 있다.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 12개월 이전에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아동과 차이를 보임
-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없고 눈 맞춤이 없음
-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음
- 신체적 접촉을 싫어함
- 다른 사람의 행동을 흉내내지 않음
- 부모와의 애착 결여 - 메타분석 결과 자폐가 없는 아동에 비해 부모와 안정애착을 덜 보임
- 사회적 결함 - 냉담함, 무관심, 상호작용과 공감의 결여, 혼자 있는 것에 지나치게 만족함
- 반향어(echolalia) - 타인의 말을 그대로 반복해서 따라하는 것
- 대명사 역전(pronoun reversal) - 다른 사람을 '나'라고 지칭, 나를 '너'라고 지칭하는 것
▶ 제한적,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과 관심
- 반복적인 감각운동
→ 손 흔들기, 몸 흔들기, 빙글빙글 돌기, 발끝으로 걷기, 물체를 반복해서 사용하기, 일부 자해행동
→ 정상적인 아동에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자폐 아동에게 더 많이, 더 심각하게 나타남
- 동일성에 대한 집착
→ 숫자에 집착하거나 물거들을 강박적으로 모으는 것, 취미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것
→ 반드시 지켜야 하는 자기 나름의 의식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가구 배치, 일정 변경 등은 자폐 아동을 심하게 화나게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