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학이론
심리치료 - 정신역동적 치료
gy_mi___
2023. 3. 10. 13:35
728x90
728x90
Ferud의 정신분석
정신분석 치료의 목적
- Freud의 정신분석을 토대로 정신역동적 치료법이 개발됨
- 치료목표: 무의식 속에 있는 욕구와 갈등을 찾아서 환자가 자각하게 하는 것
- 이상행동 또는 정신장애가 무의식적인 욕구와 갈등에 기인함
- 직면하기 어려운 욕구나 갈등을 무의식 속에 묻어버리고 자신을 방어하려고 함
- 억압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억압된 사고를 의식화 하고 현재 증상과 억압된 갈등과의 관계를 통찰하도록 돕는 것 = 통찰치료
자유연상과 카타르시스
- 환자는 의자에 편안하게 앉거나 긴 의자에 긴장을 풀고 누운 상태로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 소망, 신체적 감각 등을 자유롭게 말함.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것도 모두 말하도록 함.
- 자유연상은 이미 예정된 것으로 겉으로 드러난 단어의 의미를 확인하는 것
- 카타르시스는 감정적 배출로 보통 권위자를 향한 감정이 억압되어 있어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게 함
저항
- 환자가 말하고 싶어하지 않는 주제로 매우 고통스러워서 직시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포함
-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장애물로 간주됨
- 저항을 무너뜨려서 환자가 고통스러운 생각, 욕망, 경험을 직면하게 함
- 환자의 반응은 부인, 지각, 잡담, 분석사에게 무례하게 행동하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 치료자는 환자의 이런 행동이 왜 나타나는지 해석해주고 치료를 방해하지 않게 이끌어가야 함
자유연상을 진행할 때 포지션
- 치료자는 환자의 시야에서 벗어나 환자의 등 뒤에 앉거나 머리 맡에 앉음
-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유연상 중에 언급하는 모든 것들을 받아씀
꿈 분석
- 자는 동안에 초자아의 경계가 허술해져서 억압된 것들이 꿈으로 표현된다고 보므로 꿈의 내용은 환자의 무의식적 동기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
- 두가지 내용이 있음
- 명백한 내용(현재몽): 잠에서 깨어났을 때 기억하는 내용
- 잠재적 내용(잠재몽): 왜곡되거나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내용으로 현재몽 속에 감추어져 있음
- 현재몽을 통해 잠재몽을 해석할 수 있음
- 현재몽은 환자에게 덜 위협적인 내용을 나타남
전이와 역전이
- 전이
- 환자가 치료자에게 느끼는 감정적 반응
- 주로 과거의 환자와 감정적 갈등이 있었던 사람과 치료자를 동일시 함
- 긍정적 전이: 사랑 또는 동경의 감정
- 부정적 전이: 분노 또는 적개심
- 역전이
- 치료자가 환자에게 느끼는 감정적 반응
- 환자의 삶에서 중요하거나 의미있는 사람으로 지각되면서 환자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감정을 느끼는 것
- 치료자 자신의 무의식적 역동을 발견할 수 있음
- 치료자는 전문가로서 환자를 배려하되 환자와 개인적인 관계를 형성해서는 안됨
728x90
728x90